aws 를 사용할 떄는 보안 다음으로 요금, 과금에 민감하니 요금에 대한 정책을 많이 찾아.보고 있다.
그 중 원하는 요금 이상이 넘어가게 되면 내가 설정한 이메일로 그 알림을 알려주는 budget 정책, 한국말로는 ' 예산 '이란 정책 서비스가 있더라.
이 서비스는 무료이다.
이를 활용하면 다음 3가지에 대해 알림이 온다.
1) 실제 지출이 85 %에 도달할 경우,
2) 실제 지출이 100%에 도달할 경우,
3) 예상 지출이 10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예산 생성하기를 누르면 처음으로 나오는 화면이다
처음에 해야될 것은 이렇게 예산 유형을 선택하는 옵션이다.
예산 유형 옵션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단순 템플릿을 사용하거나 , 사용자 지정으로 고급 옵션이 있다.
사용자 지정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예산 유형을 고를 수 있다.참고로 나는 그냥 단순 템플릿을 사용하였다. (단순 템플릿은 단순히 현재 비용과 예산 도달할 비용을 볼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다음과 같은 옵션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명을 찾아보았다.
-------------------------------------------------------------------------------------------------------------------------------
4가지 옵션에 대한 설명
제공된 이미지의 4가지 옵션은 AWS(Amazon Web Services)와 관련된 예산 알림 설정에 대한 것으로 보입니다. 각 옵션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1. 지출 초과 시 알림
- 설명: 사용자가 설정한 AWS 지출 한도를 초과하면 알림을 받는 기능입니다.
- 특징:
- 0.01 USD 초과 시 알림: 매우 작은 금액인 0.01달러라도 초과하면 알림이 발생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 정밀한 비용 관리: 매우 민감하게 비용 변동을 감지하여 예산 초과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월별 비용 예산
- 설명: 매달 설정한 예산을 초과하거나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때 알림을 받는 기능입니다.
- 특징:
- 월 단위 관리: 월별로 예산을 설정하고 관리하여 장기적인 비용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예측 알림: 실제 비용이 초과되기 전에 예상 초과 시점에 알림을 받아 미리 대응할 수 있습니다.
3. 일별 절감형 플랜 담당률 예산
- 설명: 설정한 절감형 플랜의 담당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알림을 받는 기능입니다.
- 특징:
- 절감형 플랜 관리: 절감형 플랜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기능입니다.
- 목표 달성 여부 확인: 설정된 목표 대비 실제 담당률을 비교하여 플랜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4. 일별 예약 사용률 예산
- 설명: 설정한 예약의 사용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알림을 받는 기능입니다.
- 특징:
- 예약 효율성 관리: 예약된 리소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모니터링 기능입니다.
- 미사용 리소스 확인: 예약된 리소스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을 경우 비용 절감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각 옵션 선택 시 고려 사항
- 비용 관리 목표: 정밀한 비용 관리를 원하는 경우 1번 옵션, 장기적인 예산 관리를 원하는 경우 2번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절감형 플랜 활용: 절감형 플랜의 효율성을 높이고 싶다면 3번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 예약 리소스 관리: 예약된 리소스의 활용도를 높이고 싶다면 4번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추가 정보
- 복수 선택: 위 옵션들은 서로 배타적인 것이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여러 옵션을 동시에 선택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비용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알림 설정: 각 옵션별로 알림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메일, SMS 등)과 알림 주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AWS 콘솔: AWS 관리 콘솔에서 해당 설정을 직접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참고로 절감형 플랜은 장기적으로 ec2를 계속 사용하시려는 분들이 사용하면 좋은데 , 미리 예약하여 ec2 컴퓨팅을 할인된 가격에 사놓고 사용하여 온디맨드 보다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위의 3,4번째 옵션이 그 예약 인스턴스에 대한 사용량을 예측하는 옵션이라고 생각하면된다.
여기서 나는 그저 단순히 어떤 예산 비용을 설정해두고 거기에 도달하게 되면 알림을 받고 싶어하기 떄문에 2번째 옵션인 월별 비용예산을 선택했다.
위와 같이 50달러로 예산을 설정하고 알림을 받을 이메일을 설정하고 예산생성을 하면 끝이다 .
예산 생성을 완료하면 다음과 같이 예산 대비 현재 비용 , 예상 비용 등에 대해서 한눈에 볼 수 있는 창이 나온다.
'IT 지식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스팟 인스턴스와 예약 인스턴스 란? (4) | 2025.01.07 |
---|---|
aws 도전기 2 - ec2 보안 설정하기 (3) | 2025.01.07 |
aws 도전기 1 - aws ec2 발생 비용 후기 (0) | 2025.01.07 |
aws 리전이 무엇일까? 왜 필요한가? 리전별 비교 (0) | 2025.01.06 |
aws 계정 해지후 다시 복원 (2) | 2025.01.05 |